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 도강노트

주식 시장의 안전장치 -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VI, LULD

by B전공자 2025. 3. 28.

주식 시장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급격한 변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최근의 이스라엘 전쟁으로 인한 전 세계의 주가 폭락, 코로나 시기의 주가 폭락이 있습니다. 이러한 급등락을 방지하고 시장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주식 시장에서는 특정한 시장 보호 장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보호 장치들은 잠시 동안 주식 시장의 거래를 정지시킵니다. 대표적인 장치로는 사이드카(Sidecar),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 VI(Volatility Interruption, 변동성 완화장치), Limit Up-Limit Down (LULD)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과 미국 주식시장의 이러한 시장 보호 장치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시장의 안전장치

 

1. 사이드카(Sidecar)

사이드카선물 시장 가격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현물 시장의 가격이 급변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입니다. 밑에서 소개할 서킷브레이커의 전단계라고 보면 됩니다. 한국 주식에서만 적용되는 안정화 장치입니다.

사이드카 - 한국금융신문

 
사이드카는 코스피의 경우, 코스피 200 선물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경우 발동됩니다. 이때는 5분간 프로그램 매매가 정지됩니다. 코스닥의 경우, 코스닥 150 선물이 전일 종가 대비 6%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경우 발동되며 역시나 5분간 프로그램 매매가 정지됩니다.
 
특별히 장 개시 후 5분 동안, 그리고 장 종료 40분 전부터는 발동하지 않습니다. 또한, 하루에 한 번만 발동하게 됩니다.
 
미국의 경우, 한국과 같은 형태의 사이드카 제도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서킷브레이커가 보다 강력한 역할을 수행하며 Limit Up-Limit Down (LULD) 메커니즘인 개별 종목의 서킷이 작동하여 과도한 변동성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사이드카는 시장 참여자들에게 냉정한 판단을 할 시간을 제공하고, 급격한 변동을 일시적으로 완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시장이 급변하는 흐름을 막지는 못하며, 발동 해제 후에도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

서킷브레이커주식 시장 전체가 급락할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모든 거래를 중지시키는 장치 입니다. 이는 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에게 냉정하게 판단할 시간을 제공하고, 시장의 공포 심리를 완화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의 서킷브레이커

서킷브레이커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처음 도입되었습니다. 1987년 10월 19일, 블랙먼데이 사태로 다우 지수가 폭락하자 도입되었습니다. 미국의 서킷브레이커는 S&P500 지수의 변동성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1단계S&P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7% 하락15분간 거래 중단
2단계S&P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13% 하락15분간 거래 중단
3단계S&P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20% 하락당일 거래 종료

 

한국 주식 시장의 서킷브레이커

한국거래소(KRX)는 외환위기로 주식 시장이 휘청거리던 1998년 처음 서킷브레이커를 도입했습니다. 한국 서킷브레이커 발동 조건은 미국과 차이가 있습니다. 1단계와 2단계의 조건이 8%로 15%로 미국보다 조금 더 유하지만 미국보다 더 길게  20분간 거래가 중지됩니다. 이후 10분 동안은 동시호가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총 30분 간, 일반적인 매매가 멈추게 됩니다. 3단계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코스피 또는 코스닥 지수가 전일 대비 20% 하락할 경우 발동되며, 당일 거래가 종료됩니다.
 
서킷브레이커는 한단계씩 발동되며 하락세가 계속될 경우 추가 단계가 적용됩니다.

한국 주식 시장 서킷브레이커

 

3. 변동성 완화 장치(VI: Volatility Interruption)

VI(변동성 완화 장치)국내 주식 시장에서 개별 종목의 가격이 급변할 경우, 일시적으로 거래를 정지하고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는 장치입니다.
 
VI는 크게 정적 VI(Static VI)동적 VI(Dynamic VI)로 나뉩니다. 
 
정적 VI는 전일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10% 이상 상승 및 하락할 경우 발동되며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됩니다. 
 
동적 VI는 직전 체결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직전 체결가 대비 2~3% 이상 실시간 급등락하는 경우 발동되며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됩니다.
 
이러한 개별 종목의 VI는 과도한 변동성을 방지하고 시장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4. 미국 시장의 개별종목 서킷

미국 시장에도 개별 종목에 대한 안전장치가 있습니다. 가격제한폭을 의미하는 Limit Up-Limit Down (LULD) 메커니즘은 개별 주식의 서킷을 말합니다. 개별 종목마다 정해진 가격제한폭 또는 밴드를 벗어나게 되면 일시적으로 거래를 중단시키는 제도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 개별 종목 서킷 기준

 
위의 표에 나와있는 티어 1 증권은 S&P 500, 러셀 1000, 특정 ETF를 의미하며, 티어 2 증권은 워런트 증권을 제외한 모든 증권을 의미합니다. 위의 표에 따라서 개별 종목마다 가격 제한 폭이 달라지게 됩니다.
 
각 종목의 밴드를 15초 이상 벗어날 경우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경우 모두를 말합니다)에 발동되며 5분간 거래가 중단됩니다.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거래가 다시 개시되며, 지속적으로 밴드를 벗어날 경우에는 추가적인 거래 중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주식 시장에는 시장 보호를 위한 장치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오늘 살펴본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VI와 개별 종목 서킷 (LULD)은 대표적인 시장 보호 장치들입니다. 이러한 장치들은 시장을 잠시 동안 리프레시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과열된 시장을 잠시 안정시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투자자들을 보호해 줍니다. 다만, 사이드카나 서킷이 발동되었다가 풀렸을 때의 시장 변화까지 이러한 장치들이 막아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항상 리스크를 관리하고 신중한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글>

[재무제표] 전자공시시스템 EDGAR

한국 주식을 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많이 알고 계실 DART 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의 재무 상황이나 의결 사항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입니다. 이와 비슷하게 미

nonmajorunofficiallyauditing.tistory.com

 

[주식용어] P/E와 forward P/E

미국 기업을 공부하다보면 P/E와 forward P/E라는 지표는 자주 등장합니다. 두 지표는 각각 무슨 의미이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공부해보겠습니다.1. P/E ratio (Price-to-Earnings Ratio)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nonmajorunofficiallyauditing.tistory.com

 

[주식용어] 숏 데이터에 대하여

미국 주식을 공부하다보면 숏 데이터에 대해 접하게 됩니다. 위의 데이터는 양자 기업인 아이온큐의 숏 데이터를 나타낸 표입니다. 숏 데이터에는 숏 플로트(Short Float), 숏 비율(Short Ratio), 숏 관

nonmajorunofficiallyauditing.tistory.com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재무제표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가 재무제표에 해당됩니다. 이 내용들은 미국 주식을 할 때에 각 기업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 중요한 내용들입니

nonmajorunofficiallyauditi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