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어 도강노트7 [어려운 고유어 공부하기] 자연 현상과 고유어 우리나라 고유어 중 자연 현상과 관련된 순우리말에 특히 아름다운 말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바람, 비와 눈, 그리고 그 밖의 자연 현상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고유어들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우리나라에는 다양한 바람 이름들이 있습니다. 가장 자주 쓰는 말로는 하늬바람, 마파람, 높새바람이 있는 것 같습니다. 바람의 이름들은 주로 뱃사람들이 부르던 말들에서 유래한 것이 많은 것 같습니다. 불어오는 방향과 그 세기, 그리고 계절에 따라 다양한 바람의 이름이 있습니다. 샛바람동풍을 이르는 말. 뱃사람들의 은어. 동부새동풍을 이르는 말. 농가에서 부르는 말. 하늬바람서풍을 이르는 말. 농촌이나 어촌에서 부르는 말. 갈바람서풍을 이르는 말. 뱃사람들의 말. 가수알바람서풍을 이르.. 2025. 2. 14. [어려운 고유어 공부하기] 'ㅅ'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순우리말 중 하나는 '시나브로' 같습니다. 교과서에서도 많이 배웠고 특히 학창 시절에 '시나브로'라는 이름의 동아리는 꼭 있었던 것 같습니다. 오늘은 'ㅅ으로 시작하는 고유어'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사달사고나 탈예) 조마조마했는데 결국 사달이 났구나. 사북1. 접었다 폈다 하는 부채의 아랫머리나 가위다리의 교차된 곳에 박아 돌쩌귀처럼 쓰이는 물건2. 가장 중요한 부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사품어떤 동작이나 일이 진행되는 바람이나 겨를예) 오랜만에 만난 친구와 수다를 떠는 사품에 늦고 말았다. 삭정이살아 있는 나무에 붙어 있는, 말라 죽은 가지예) 새가 날아오르자 삭정이가 후두둑 하고 떨어졌다. 살피1. 땅과 땅 사이의 경계선을 간단히 나타낸 표2. 물건과 물건 사이를 .. 2025. 2. 11. [어려운 고유어 공부하기] 'ㅂ' 우리나라의 고유어를 공부하다 보면 성질이나 상태를 표현하는 형용사나 부사의 종류가 정말 다양함을 느낍니다. 바작바작, 바락바락, 벙글벙글. 'ㅂ'으로 시작하는 고유어에는 특히 아름다운 부사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ㅂ'으로 시작하는 고유어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발치1. 누울 때 발이 가는 쪽2. 발이 있는 쪽예) 타인의 눈이 아닌 발치만 보고 있으면 자신감이 없어 보인다.3. 사물의 꼬리나 아래쪽이 되는 끝부분 배냇짓갓난아이가 자면서 웃거나 눈, 코, 입 따위를 쫑긋거리는 짓예) 배냇짓을 하는 아기가 너무 귀엽다. 뱃심1. 염치나 두려움이 없이 제 고집대로 버티는 힘예) 이사회의 반대에도 사장은 뱃심으로 결정을 밀고 나갔다.2. 마음속에 다지는 속셈예) 결국 그는 내 몫의 재산을 가.. 2025. 2. 10. [어려운 고유어 공부하기] 'ㅁ' 고유어 중에서는 일상에서 접하기 어려운 말들이 많습니다. 말밥, 망석중, 만무방 등 처음 들어보는 고유어 명사들이 정말 많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지난 'ㄷ'에 이어서 'ㅁ으로 시작하는 고유어'에 대해 정리해보고 공부해 보겠습니다. 마름지주를 대리하여 소작권을 관리하는 사람예) 왜 마름이 지주인 것 마냥 위세를 부리지? 마수걸이1. 맨 처음으로 물건을 파는 일. 또는 거기서 얻은 소득.2. 맨 처음으로 부딪는 일.예) 처음 일본어를 배울 때 높임말부터 배우는 것은 마수걸이로 적합하지 않다. 마파람뱃사람들의 은어로 남풍을 이르는 말예) 마파람과 함께 불화살이 날아들었다. 만무방염치가 없이 막된 사람예) 학벌이 좋지는 않지만 예의도 못 배운 만무방은 아니다. 맏물과일, 푸성귀, 해산물 따위에서 그해의 맨 .. 2025. 2. 9. [어려운 고유어 공부하기] 'ㄷ' '아침 댓바람부터 게임을 한다'라는 말을 부모님께 들었던 어린 시절의 기억이 있습니다. 댓바람이라는 말이 뭔지도 모르고 단순히 사투리 표현이겠거니 하고 넘어갔던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의 'ㄴ'에 이어 'ㄷ으로 시작하는 고유어'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닦달1. 남을 단단히 윽박질러서 혼을 냄.예) 조금만 기다리라니까 왜 그렇게 닦달이야.2. 물건을 손질하고 매만짐.예) 칼이 잘 들도록 닦달에 열중하고 있다.3. 음식물로 쓸 것을 요리하기 좋게 다듬음. 단김1. 음식물의 제맛이 되는 맛이나 김예) 실온에 놓은 과자는 오래되어 단김이 빠지고 맛이 없어졌다.2. 달아올라 뜨거운 김예) 새벽에 잠에서 깨니 마당의 가마솥에서 단김이 솟아오르고 있었다. 달포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예) 시험이 끝난 지.. 2025. 1. 28. [어려운 고유어 공부하기] 'ㄴ' 예전에 아는형님이라는 예능 프로의 민경훈과 김희철이 '나비잠'이라는 노래를 만들어 불렀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 들으면서 노래도 참 좋지만 나비잠이라는 고유어가 아름답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ㄴ으로 시작하는 고유어'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나비잠갓난아이가 두 팔을 머리 위로 벌리고 자는 잠예) 팔을 어깨 위로 올리고 나비잠을 자던 아이는 창문 밖의 공사 소리에 잠에서 깨어났다. 남새밭에서 기르는 농작물. 주로 그 잎이나 줄기, 열매 따위를 식용한다. 보리나 밀 따위의 곡류는 제외한다.예) 가뭄에 할머니가 기르던 남새가 모두 시들었다. 남우세남에게 비웃음과 놀림을 받게 됨. 또는 그 비웃음과 놀림.예) 그렇게 옷을 입고 갔다가는 남우세를 받을 것이 뻔하다. 내숭겉으로는 순해 보이.. 2025. 1. 25. [어려운 고유어 공부하기] 'ㄱ' 고유어란 해당 언어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그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을 의미합니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한자어, 외국어, 외래어가 아닌 순우리말을 의미합니다. 일상에서는 쉽게 접하기 어려운 아름다운 우리나라의 순우리말을 공부해보려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ㄱ으로 시작하는 고유어'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가납사니쓸데없는 말을 지껄이기 좋아하는 수다스러운 사람예) 가납사니 같은 사람들이 많으면 피곤하다. 가녘둘레나 끝에 해당되는 부분. 가장자리.예) 넓은 논밭의 동쪽 가녘은 엷은 낙조로 물들었다. 가랑눈조금씩 잘게 내리는 눈예) 함박눈을 기대했었는데 오늘은 가랑눈만 내렸다. 가리사니1. 사물을 판단할 만한 지각2. 사물을 분간하여 판단할 수 있는 실마리예) 형사는 용의자의 말이 거짓인지 진실인지.. 2025. 1. 25. 이전 1 다음 반응형